2025년 6월 26일, 국회 본회의장. 이재명 대통령이 여의도를 직접 찾아 첫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시정연설에 나섰습니다.
그가 꺼내든 키워드는 단순했습니다.
“실용”, “국익”, “공정”. 하지만 그 속엔 무너진 경제를 되살리고 양극화 해소와 성장의 선순환을 이끌어내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었습니다.
✅ 경제 회복을 위한 “마중물” 추경…총 20조 투입 예정
이번 추경안은 단기 부양책이 아닌, 회복-성장-공정의 선순환 고리 복원을 목표로 짜였습니다.
📊 추경 핵심 구성
🔸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소비진작 예산 → 11.3조 원
🔸 SOC 조기투자·PF시장 유동성 공급 등 투자촉진 예산 → 3.9조 원
🔸 소상공인·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민생안정 예산 → 5조 원
🔸 세입경정 규모 → 10.3조 원 (재정 건전성 보완 병행)
💬 이 대통령은 “지금은 경기 회복의 골든타임”이라며
정부의 추경안이 “경제위기 가뭄을 해소할 마중물이 될 것”이라 강조했습니다.
🎯 “공정성장”과 “코스피 5000 시대”를 위한 제언도
이번 연설의 백미는 단지 예산안 소개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 이 대통령은
> “성장 기회와 결과를 함께 나누는 ‘공정성장’을 통해
양극화와 불평등을 완화하겠다”는 구상을 밝혔고,
> “자본시장 투명성과 공정성이 회복되면
코스피 5000 시대도 열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즉, 성장과 투자, 분배와 신뢰의 균형이라는 한국형 경제 철학을 제시한 셈이죠.
🌐 외교·통일 철학도 ‘실용’을 기본으로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외교 방향에 대해서도 분명한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 “외교에는 진보, 보수가 없다. 국익이냐 아니냐가 유일한 기준이다.”
이는 색깔론과 진영논리를 뛰어넘은 ‘실용 외교’ 선언이자, 실용통일론으로 이어지는 태도로 해석됩니다.
평화를 통해 경제를 회복하고, 경제가 다시 평화를 이끌어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의지가 엿보였습니다.
🧭 “기득권보다 상식, 불균형보다 공정”으로 가자는 약속
이날 연설은 단지 재정지출의 나열이 아닌
📌 경제 시스템의 재설계 청사진이자,
📌 정치·사회 전반에 실용과 공정의 복원을 요구하는 메시지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대통령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기득권과 특권, 편법이 아니라
공정의 토대 위에서 모두가 질서를 지키는 상식적인 나라로 가야 한다.”
'정부 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헬스장·수영장도 소득공제! 7월부터 달라지는 문화비 혜택 총정리 (2) | 2025.07.01 |
---|---|
학자금대출도 채무조정 가능? 놓치기 쉬운 '빚 탕감 제도' 총정리 (3) | 2025.06.22 |
이재명 정부, 소상공인·자영업자 빚 탕감 본격화 – 143만명 구제 시동 걸렸다 (3) | 2025.06.20 |
이재명 정부, 첫 추경안 발표 – 4인 가족 기준 100만 원 ‘소비쿠폰’ 수령 예정 (4) | 2025.06.20 |
2025 서울시 청년수당 – 신청 조건 및 소득 기준 (3) | 2025.06.11 |
버팀목전세자금대출: 무주택 세대주를 위한 주거 안정 지원 (0) | 2025.05.03 |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무주택 세대주를 위한 주택 구입 지원 (1) | 2025.05.02 |
청년내일저축계좌, 5월 2일부터 신청… 최대 1440만 원 혜택 (2)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