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예상치를 넘은 PPI에도 상승세를 보였으며, 나스닥은 0.75% 상승했습니다. 이더리움은 SEC의 분류 우려로 3천 달러 아래로 떨어졌고, LG전자는 AI 클로이를 활용한 의료 로봇 서비스를 가속화합니다. LG 디스플레이는 VR용 올레도스 기술을, 삼성 디스플레이는 자발광 기술 QD-LED를 첫 공개했습니다.
1. 뉴욕증시, 예상 웃돈 PPI에도 상승... 나스닥 0.75%↑
뉴욕증시는 2024년 5월 15일에 상승했습니다. 이 상승은 예상치를 초과한 생산자물가지수(PPI)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나스닥은 0.75% 상승하여 종가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4월 PPI는 전월 대비 0.5% 상승하여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예상치인 0.3%를 상회했습니다. 반면, 3월 PPI는 0.2% 상승에서 0.1% 하락으로 수정되었습니다. 파월 연준 의장은 4월 PPI가 예상보다 높았지만, 3월 수치는 낮아졌다고 언급하였습니다. 그는 이를 근거로 다음 금리 결정이 인상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시장금리는 하락하였습니다. 미국 국채 10년물은 전일비 3.2bp 내린 4.45%, 2년물은 3.6bp 떨어진 4.82%로 마감했습니다. 또한, 달러인덱스는 전일 대비 0.19% 하락한 105.02pt로 종가를 형성했습니다. 기술주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알파벳 등 주요 대형 기술주들이 상승했으며, 알파벳은 '제미나이' 검색엔진 발표로 0.71% 올랐습니다. 국제유가는 하락했습니다. OPEC 월간 보고서 발표 영향으로 WTI와 브렌트유 가격이 각각 하락했습니다. 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프랑스 CAC 40과 영국 FTSE 100은 상승했으나, 독일 DAX 40은 하락했습니다.
관련 기사 링크 : https://im.newspic.kr/muSUXig
2. 이더리움 3천달러 밑도는 이유는 '이것'
현재 이더리움의 가격은 2,887달러로, 24시간 전에 비해 2.2% 하락하였고, 일주일 전에 비해 4.2%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1년 전에 비해 60.4% 상승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가격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이더리움 증권 분류에 대한 우려와 유니스왑에 대한 웰스노티스 발행으로 인해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이 낮아진 것입니다. 또한 이더리움의 온체인 활동이 줄어들어 활성 주소와 고유 활성 지갑 수가 감소하였습니다. 이더리움 투자 상품에서는 1,400만 달러가 순유출되었습니다. SEC는 5월 23일에 반에크의 신청에 대한 판결을 내릴 예정이며, ARK 21셰어즈와 해시덱스의 마감일은 각각 5월 24일과 5월 30일입니다. 이 정보들은 이더리움 가격이 3,000달러 아래로 떨어진 이유와 관련된 주요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관련 기사 링크 : https://im.newspic.kr/G14YIty
3. LG전자, AI 클로이 앞세워 '맞춤형 의료 로봇 서비스' 가속
LG전자와 한림대학교 성심병원이 최근에 의료용 로봇 서비스 발굴 및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협약은 병원 특화 로봇 시나리오 발굴, 실증 사례 구축, 국내외 의료 기관과의 협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양문형 LG 클로이 서브봇은 이 협력의 주요 산물로, 최대 30kg의 물건을 적재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의료용 물품 배송에 적합합니다. 로봇 내부는 항균 처리된 소재와 환기팬을 사용하여 위생을 고려하였고, 보안·잠금장치를 통해 물품의 도난이나 분실을 방지합니다. 라이다 센서와 카메라를 활용하여 주변 사물을 인식하고 AI로 분석하여 병원 내에서 안정적으로 주행합니다.
LG전자는 2020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 이원 의료재단, 국립 암센터, 용인 세브란스 병원 등에 클로이 로봇 솔루션을 공급하며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노하우를 쌓아왔습니다. 한림대 성심병원은 'LG전자 첨단로봇 선도병원'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로봇 실증 사례를 연구할 예정입니다. 한림대 성심병원 유경호 병원장은 LG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환자와 의료진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의료 서비스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LG전자 노규찬 로봇사업담당은 로봇을 통해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방문객에게 차별화된 로봇 의료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협력은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AI 클로이 로봇을 활용하여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관련 기사 링크 : https://im.newspic.kr/MK4WeUY
4. LG 디스플레이, 휘도해상도 확 높인 VR용 올레도스 첫 공개
LG디스플레이가 'SID 2024'에서 선보인 새로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은 올레도스(OLEDoS)라고 불리며, 실리콘 웨이퍼에 OLED를 증착한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작은 크기에도 높은 해상도와 휘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의 혁신적인 특징들 중 하나는 초고휘도입니다. 1만니트(nit)의 밝기를 가진 1.3인치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했습니다. 또한, 이 기술은 초고해상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4K급 4000ppi(인치당 픽셀 수) 해상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 기술은 정확한 색 표현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DCI-P3 색 영역을 97% 이상 충족합니다. 이 기술은 또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MLA) 기술을 사용하여 빛 방출을 극대화하고, 휘도를 약 40% 향상시킵니다. 이외에도, 이 기술은 1.3인치 4K 해상도의 스마트워치용 디스플레이를 구현하였습니다.
또한, 이 기술은 라이트 필드 디스플레이(LFD)를 통해 무안경 3D 기술로 홀로그램 효과를 구현하였습니다. 그리고 메타 테크놀로지 2.0을 통해 휘도를 약 42% 향상시켰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기술은 480Hz 초고주사율을 구현한 27인치 게이밍 OLED 패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디스플레이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는 LG디스플레이의 차세대 VR용 올레도스 기술이 가져올 변화입니다.
관련 기사 링크 : https://im.newspic.kr/BT8VOyb
5. 삼성 디스플레이, 퀀텀닷 이용 미래 자발광 기술 'QD-LED' 첫 공개
삼성디스플레이가 SID 2024에서 업계 최초로 QD-LED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이 기술은 퀀텀닷만을 이용해 RGB 픽셀을 구현하는 자발광 기술입니다. QD-LED는 QD-OLED와 달리 OLED 없이 전류 구동으로 직접 빛을 낼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넓은 색역, 높은 색 정확도, 안정적인 재료 특성으로 제조 효율이 높으며, 잉크젯 프린팅을 통한 대면적 패터닝이 가능합니다. 제품 사양으로는 18.2형 QD-LED가 3200x1800 해상도, 202ppi 픽셀 밀도, 250니트 휘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삼성디스플레이는 IT용 OLED에 최적화된 초슬림 구조의 OLED 기술인 UT(Ultra Thin)와 XR 시장을 겨냥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기술인 RGB 올레도스(OLEDoS) 등의 혁신 기술도 선보였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IT와 확장현실(XR)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기대됩니다.
관련 기사 링크 : https://im.newspic.kr/wCo7wft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또한, 제휴 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 커미션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최저임금 인상 - 정의, 목적 및 결정 과정 (0) | 2024.08.03 |
---|---|
동탄역 롯데캐슬 청약, 무순위 청약 폭주로 연장 (1) | 2024.07.29 |
2024년 세계 경제 포럼과 KPMG의 미래 전망 - AI, 에너지 전환, 그리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 (1) | 2024.07.19 |
TDK의 고체 배터리 혁신 - 미래의 에너지 저장을 위한 도전과 기회 (0) | 2024.06.20 |
오늘 주요 뉴스 - 금융과 기술의 교차점: 한국 기업들의 최신 동향 (0) | 2024.05.14 |
오늘 주요 뉴스 - AI 코인, 비트코인, 증권사, 이더리움 ETF, 서울 아파트 경매 (0) | 2024.05.12 |
오늘 주요 뉴스 - 노브랜드 공모 청약, 로또 1119회 당첨번호, JP모건·웰스파고의 비트코인 ETF 보유, 뉴욕 증시 동향, CJ CGV의 성장 (0) | 2024.05.11 |
이번 주의 주요 뉴스: 라인과 네이버, 넷마블, KT, 유통산업, 실손보험 (0) | 2024.05.10 |